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입주를 앞둔 원주기업도시 지식산업센터와 지역 아파트 분양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지난 6월 준공승인과 함께 입주가 속속 이뤄지고 있는 원주기업도시에 있는 한 지식산업센터는 계약당시 금융권에서 최대 75%까지 대출을 약속한 상황이었지만,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후 대출 한도가 축소돼 입주 예정자들이 잔금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300여명의 계약자들의 대출 한도가 30% 안팎으로 줄어든 데다 다른 담보를 제시해도 한도가 최대 40%에 불과한 상황이다. 통상 잔금 대출을 받아 중도금을 상환한 후 장기대출로 전환하려는 입주자들이 부동산 대출 규제로 날벼락을 맞은 셈이다.
한 입주 예정자는 "75%까지 대출된다는 말을 믿고 계약했는데, 입주를 앞두고 대출 한도를 줄여 난감한 상황"이라며 "기존 계약자들에 대한 대출은 종전대로 유지해 줘야 하지 않냐"고 반문했다.
지식산업센터 관계자는 "본격적인 입주를 앞두고 느닷없는 대출 규제로 입주자들로부터 문의가 속출하고 있다"며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임에도 금융권이 동일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문제가 있다. 최소한 부동산 대책에 앞서 계약한 사람들을 구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춘천에서는 입주가 시작된 모 아파트의 경우 경우 잔금을 마련하지 못한 분양자들이 잇따라 입주를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무(無)피 또는 마이너스피(마피) 급매물이 나오고 있다. 2023년 분양 당시 평균 31.44대 1의 최고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프리미엄이 2,000~3,000만원씩 붙었지만 남향 26층 전용 75㎡ 분양권은 마피 300만원, 같은 면적의 무피 매물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측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뿐 아니라 본점 차원에서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LTV(담보인정비율)를 낮게 책정하면서 담보를 낮출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일단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급선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