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센터 공실률 심화…"주거·공유공간 전환" 이 생존 해법
- 25-09-30
- 181 회
- 0 건
서울 금천구 G밸리 기업시민청에서 25일 열린 ‘지식산업센터 생존을 위한 대토론회’ 에서 업계·학계·정책 관계자들은 지식산업센터의 만성적인 공실 문제 해법으로 ‘용도 전환’ 을 촉구했다.
(사)한국지식산업센터연합회와 G밸리산업협회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아파트형 공장으로 불리며 한때 상업용 부동산 투자처로 각광받았던 지식산업센터가 공급 과잉과 경기 침체 여파로 애물단지로 전락한 현실을 진단하고, 공공임대형 기숙사·코리빙(공유주거)·요양시설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이 제시됐다.
25일 서울 금천구 G밸리 기업시민청에서 열린 ‘지식산업센터 생존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이 지식산업센터 공실 해소 및 용도 전환 필요성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공실률 심화…“대출 압박까지”
한국지식산업센터연합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지식산업센터는 착공 예정 물량까지 포함해 1539곳에 달하며, 이 중 77%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최승자 평택지부장은 “공실이 늘면서 자산 가치가 하락해 은행이 대출 상환을 요구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며 “입주 업종 제한과 지원시설 비율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호소했다.
◆ 기숙사도 ‘개점휴업’…“불법 전용 내몰려”
연합회 김미숙 용인지부장은 “지식산업센터 내 기숙사는 법적으로 입주사 근로자만 쓸 수 있고, 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도 받지 못한다”며 “결국 외부 수요를 받으려 하면 불법으로 내몰린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기숙사부터 주택으로 전환해 1인 가구 수요를 흡수하고, 나아가 공유숙박·창업형 주거·실버타운 등 지역 맞춤형 공간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아파트보다 빠른 공급”…규제 완화 필요성
서울 등 수도권의 주택난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도 지식산업센터 전환이 거론됐다. 김대종 세종대 교수는 “아파트는 입주까지 10년 이상 걸리지만, 지산은 구조 변경만으로 빠른 공급이 가능하다”며 “지원시설의 절반 이상을 주거용으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원철 한양대 특임교수는 “주거 전환이 아니더라도 코리빙, 캡슐호텔, 요양시설 등으로의 활용은 비용 부담이 적고 수요도 많다”며 “지역 수요 맞춤형 리모델링을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공실 해법, 정부 정책엔 빠져…산자부 소관이 발목
정부도 최근 ‘9·7대책’을 통해 도심 내 공실 상가·오피스의 주택 전환을 추진 중이다. 다만 지식산업센터는 산업집적법상 산업통상자원부 소관이라 국토부 주도의 전환 정책에는 직접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이용복 한국지식산업센터연합회장은 “공장 비율을 대폭 줄이고 지원시설을 확대해야 한다”며 “공공임대형 기숙사, 오피스텔형 지원시설 전환 등을 통해 생활과 산업이 공존하는 복합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지식산업센터 관계자들이 ‘지산 용도변경’, ‘규제 철폐’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 “생존 해법은 규제 완화·탄력적 전환”
전문가들은 공실률 악화와 금융 압박에 시달리는 지식산업센터가 생존하려면 규제 완화와 탄력적 전환 제도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토론회는 ▲이용복 연합회장 개회사 ▲유성훈 금천구청장·정기남 국회의원 축사 ▲학계·건축·법조 전문가 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마지막에는 참석자들이 “지식산업센터 용도 전환 촉구” 구호를 외치며 기념촬영을 진행했다.
지식산업센터연합회와 G밸리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한 ‘지식산업센터 생존을 위한 대토론회’ 참가자들이 행사를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 : 연합투데이(https://www.yh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