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새 정부에 ‘지식산업센터ㆍ리모델링’ 정책 건의 나선다

대한건설협회, 30대 회원사 및 주요 시행사 대상 의견 조회 나서
지식산업센터…2022년 후 45% 미분양, 건설사 유동성 악화
리모델링…발빠른 주택공급 가능하지만 수직증축 등 까다로와


[대한경제=정석한 기자] 건설업계가 내달이면 들어설 새로운 정부에 요청할 건설ㆍ부동산 정책 준비에 본격 나서고 있다. 지식산업센터 미분양 및 공실률 해소, 리모델링 활성화, 주택 미분양 해결 등 현안과 관련한 것들로, 향후 차기 정부에서 어떻게 정책에 어떻게 반영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한건설협회는 최근 30대 회원사 및 주요 시행사를 대상으로 새 정부에 건의할 건설ㆍ부동산 정책의 의견 조회에 나섰다.

먼저 건협은 대표적인 비(非)주거용 건축물인 지식산업센터의 미분양 및 공실률 해소가 필요하다고 보고 건설사들의 의견을 구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는 부동산 경기가 절정이었던 2021∼2022년에 손쉬운 인ㆍ허가 등을 장점으로 급속도로 공급됐다.

하지만 이들 물량이 준공되기 시작한 2023∼2024년부터 물량이 쌓이면서 미분양 물량도 급증하기 시작했다. 지식산업센터 전문 컨설팅사인 세이노의 통계에 의하면 2022년 후 분양한 지식산업센터 중에서 45%가 미분양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식산업센터의 미분양은 현재 주택과 마찬가지로 건설사들의 유동성 악화를 더욱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건협은 지식산업센터의 분양 정도와 시장 상황, 향후 전망, 현재 유동성 정도를 파악하고 정부에 대책을 요청하기로 했다.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건설사들의 의견도 청취하기로 했다. 리모델링은 기존 주택의 골조를 해체할 필요가 없어, (재건축 대비) 좀더 발빠른 주택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구수를 대폭 늘릴 수 있는 수직증축의 경우 안정성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 추진이 상당히 까다로운 편이다. 이에 건협은 도심의 주택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제도 개선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정부에 대책을 건의하기로 했다.

최근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ㆍ폐업을 야기시키는 주택 미분양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사들의 구체적인 의견도 묻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지방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해 주택 3000가구 매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때 매입가는 감정가의 83%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 가격이 너무 적다는 의견이 나옴에 따라 적정가격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로 했다.

또 주택 미분양 문제는 건설사 스스로의 자구책 마련 없이는 정부에 요청하기도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할인 분양을 한다면 분양가의 몇 %까지 가능한지를 파악하기로 했다. 아울러 건설사 스스로 지방 미분양 물량을 장기임대(8년 이상)로 전환할 경우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양도소득세 감면 등 혜택을 준다면 미분양 물량을 장기임재로 전환할 의지가 있는지도 묻기로 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정부와 각 당에 요청한 건설정책 핵심과제과 대비해 좀더 구체적이고 세심한 정책 마련을 위한 백데이터를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석한 기자 jobiz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