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센터 대출 부실 지속…NPL 처분 확대하는 은행권

 (서울=연합인포맥스) 한상민 기자 = 경기 둔화 확대 속에 은행에서 경쟁적으로 지식산업센터 부실채권(NPL) 물량을 정리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 분양가의 30%가 넘는 손실을 내기도 하며 NPL을 처분하는 가운데 정리 물량이 지속해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NPL 정리 규모는 5조6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천억원 늘었다. 전 분기 대비로는 6천억원 증가했다.

그중 중소기업 NPL의 정리 규모는 3조7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천억원 늘었다.

지식산업센터는 시장가 회복세가 요원한 상황이다.

상업용 부동산(CRE)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의 지식산업센터 매매지수는 191.1포인트로 직전 분기(201.2포인트) 대비 4.9% 밀렸다. 1년 전 217포인트 대비로는 11.9% 내렸다.

은행은 아직 부실채권비율이 양호하지만, 지식산업센터 관련 대출은 NPL 시장에 지속해서 처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작년 대비 0.01%포인트 내렸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전 분기 말 대비 고정이하여신인 부실채권 비율이 각각 0.05%포인트, 0.03%포인트 내린 0.32%, 0.24%를 보인다.

기업은행은 고정이하여신 금액이 가장 높은 4조2천억원(1.30%)을 보였는데, 전년 동기 대비 부실채권비율이 0.25%포인트 증가했다.

NPL 업계 관계자는 "최근 은행이 경쟁적으로 지식산업센터 물량을 처분하는 분위기"라며 "자체 지표가 양호한데도 정리에 나선 데에는 시장 동향이 악화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이라고 말했다.

지식산업센터는 임대보다는 분양이 일반적인 형태다. 수도권에서는 전체 면적의 약 85%가 분양 형태로 공급됐다. 통상 벤처기업이나 제조업, 정보통신업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입주한다.

문제는 실수요보다 투자수요로 인한 공급과잉으로 지식산업센터가 NPL 시장에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출 규제가 널널했던 과거에 담보인정비율(LTV)의 80%까지 은행권에서 대출이 가능했기에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은 개인에게도 인기를 끌었다. 전매제한 등의 규제도 없어서 민간에서 빠른 공급이 이뤄졌다.

공급 과잉이 경기 둔화와 겹치며 서울에서는 평균 매매가가 급속도로 하락했다. 지난 2023년 기준 서울의 지식산업센터 평균 매매가는 ㎥당 901만원에서 지난해 748만원으로 17%가량 하락했다.

중소기업 등의 실수요 측면에서 하방을 지지하지 못하는 점도 지식산업센터 NPL 처분을 가속하는 요소로 꼽힌다.

중소기업의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IBK 중소기업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2월 98.85로 4개월 만에 증가 전환됐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1.1포인트 내렸다. 2015년 1월 기준(=100)을 밑돌면서 여전히 경기축소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경기권의 지식산업센터 공실률은 40%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은행권 한 관계자는 지식산업센터는 현재 담보물로서의 가치가 하나도 없는 수준이라고도 설명했다.

지식산업센터 시장이 붕괴한 만큼 은행은 LTV 80% 물건에 대해 많게는 분양가의 50%인 절반의 손실을 보고 정리에 나서고 있다.

심지어 NPL 시장에서 지식산업센터 물건을 분양가의 30%로 받아와도 향후 처분을 고민하기도 하는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진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업은행이 특히 분기별로 지식산업센터 처분에 많이 나서고 있다"며 "시중은행은 지식산업센터를 이미 많이 정리한 곳도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강릉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mhan@yna.co.kr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