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 선정 앞둔 문래동 4가…지식산업센터 탓에 유찰 우려

문래동4가 도시환경정비구역 재개발 시공사 선정이 오는 11일로 예정됐지만 준공업지역으로 단지 내 지식산업센터를 포함해야 하는 조건이 걸려 있어 유찰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4가 도시환경정비구역 재개발사업 조감도. /정비사업 정보몽땅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4가 도시환경정비구역 재개발사업 조감도. /정비사업 정보몽땅

9일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4가 도시환경정비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은 오는 11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마감한다.

해당 사업지는 23-6번지 일대로 구역면적 9만4087㎡다. 문래동 일대는 지난 2012년 준공업지역 도시환경정비구역 정비계획에 따라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조합은 이곳에 공동주택 용적률 299.98%와 지식산업센터 등 용적률 459.37%를 적용해 지상 최고 39층까지(지식산업센터 최고 18층) 9개동 규모의 아파트 1200가구와 지식산업센터, 부대복리시설 등을 공급할 예정이었다.

다만 최근 지식산업센터 시장이 급격하게 침체하면서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의 지식산업센터 거래량은 672건, 거래 금액은 2569억원으로 최근 5년 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년 전(거래량 1011건·거래액 4153억원)과 비교하면 각각 33.5%, 38.1% 감소했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창업인구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앞서 영등포구 양평동 양평13구역도 지난 2009년 준공업지역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사업성이 떨어져 10년 넘게 사업이 지연됐다. 이후 2021년 공공재개발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용적률 완화 등의 혜택으로 사업성을 확보한 바 있다.

준공업지역 재개발의 사업성 지적이 계속되면서 사업이 지연되다 보니 서울시는 지난해 4월 발표한 ‘서남권 대개조 구상’을 통해 준공업지역의 규제를 일부 정비했다. 기존 준공업지역은 용적률이 최대 250%로 제한돼 재건축·재개발의 사업성이 확보되지 못했지만 규제 완화를 통해 용적률을 400%까지 완화했다

이후 문래동4가는 서울시 조례 변경으로 당초 예정된 지식산업센터 의무비율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허용용적률 560% 안에서 정비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정비계획 변경 시 아파트가 약 2300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이 같은 완화에도 조합 측은 지식산업센터 분양이 어려운 상황이라 건설사들이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유찰을 우려하고 있다.

문래동4가 재개발조합 관계자는 “규제 완화로 지식산업센터 비율을 크게 줄였지만 정비계획 변경 전에 시공사 선정이 이뤄지다 보니 이를 설명하기 어렵다”며 “또한 비율을 줄여도 지식산업센터의 사업성이 워낙 떨어진 상황이고, 입주 조건이 까다로워 결국 오피스 등으로 변경을 해야 하는데 서울시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11일 입찰 결과를 지켜보고 상황에 맞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건설사 측에서도 사업성에 영향이 있다는 반응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시공사 는 지식산업센터의 사업성이 좋지 않아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지는 않는다. 다만 사업성이 떨어지면 사업주가 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렵고 이는 시공사에도 분명 영향이 있다”며 “결국 준공업지역은 지식산업센터 때문에 정비사업지 사업성이 떨어지면 시공사도 불편한 상황이 계속 연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완화가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문래동4가는 준공업지역 규제 완화로 그나마 사업성이 많이 개선됐다”며 “특히 지식산업센터 비율도 많이 줄어든 만큼 아마 관심을 보이는 건설사가 있을 것이다. 다만 이번 입찰은 정비계획 변경 전에 진행된다는 점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지난 2월24일 진행한 현장설명회에는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효성중공업, SK에코플랜트 등 5개 건설사가 참여했다.